아모스,베드로전후서 - 은혜 금요 - 080704 - 암1벧전1벧후1

작성자
김동원목사
작성일
2008-07-15 16:34
조회
7759
2008년 QT설명회


암5:24 오직 정의를 물 같이, 공의를 마르지 않는 강 같이 흐르게 할지어다. 아멘.


●●●아모스●●●


●출신이 독특한 선지자

암1:1 유다 왕 웃시야의 시대 곧 이스라엘 왕 요아스의 아들 여로보암의 시대 지진 전 이년에 드고아 목자 중 아모스가 이스라엘에 대하여 이상으로 받은 말씀이라. 아멘.

- 드고아란 곳?

지도에서 보는 것처럼, 예루살렘의 밑부분입니다. 즉, 남 유다지방이라는 말입니다. 그가 대상으로 삼은 곳은 북이스라엘이었습니다.


●눈에 보이는 박해.

뻔 하지 않습니까? 엄청난 박해가 있을 것입니다. 서로간에 감정이 좋지 않습니다. 예수님과 사마리아여인의 이야기에서 보는 것처럼 이들은 친할 수 없는 관계인데, 남유다 사람이 와서 북이스라엘 사람을 꾸짖고 다닙니다. 무슨 일이 있었을까요?


암7:12 아마샤가 또 아모스에게 이르되 선견자야 너는 유다 땅으로 도망하여 가서 거기에서나 떡을 먹으며 거기에서나 예언하고

13 다시는 벧엘에서 예언하지 말라 이는 왕의 성소요 나라의 궁궐임이니라. 아멘.


●벧엘은?

아마샤가 이렇게 이야기합니다. 어디서 굴러왔냐? 왜 남유다 사람이 북이스라엘의 벧엘에서 예언하냐? 니네 동네에 가서 예언해라. 이처럼 대접을 잘 받지 못합니다.


●출신도 그래.

암7:14 아모스가 아마샤에게 대답하여 이르되 나는 선지자가 아니며 선지자의 아들도 아니라 나는 목자요 뽕나무를 재배하는 자로서

15 양 떼를 따를 때에 여호와께서 나를 데려다가 여호와께서 내게 이르시기를 가서 내 백성 이스라엘에게 예언하라 하셨나니. 아멘.


- 뽕나무 재배하는 농민이었습니다. 원래 성직자도 아니었습니다. 유식한 사람들이 하던 직업은 아닙니다.


●아마샤?

벧엘의 제사장입니다. 여기서 대조되는 두 그룹을 보실 수가 있습니다.


●제사장과 선지자의 대립

제사장은 왕과 친합니다. 왕에게 함부로 할 수가 없습니다. 레위인들이 대를 이어서 합니다.

선지자는 출신이 불분명합니다. 이사야같이 왕족출신인 사람도 있기는 했지만, 그렇지 않은 아모스같은 사람도 참 많았습니다.


●목회자를 보면서...

어디서 신학을 했는가? 나이도 저렇게 많아가지고, 무슨 목회인가? 이런 말씀은 하나님의 역사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이런 분들이 어떤 면에서는 선지자와 같은 분들일 수 있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서로간에 대립

어디서 굴러왔느냐? 네 출신은 뭐냐? 정말 하나님께서 너를 보낸 것이 맞냐? 너 그냥 온 것 아니냐? 즉, 사이비아니냐? 그런 이야기입니다.


●하나님께서는 두축을 활용하심.

제사장들은 안정된 직업이었습니다. 그래서 왕에게 함부로 못하고, 타락하기도 했습니다. 엘리제사장을 보시면 잘 알 수 있지요?

그래서 선지자들을 두셔서 견제라는 것을 하게 하셨습니다. 이 사람들은 뭐 걸릴 것이 없습니다. 거침없이 하나님의 말씀을 전할 수 있습니다. 아모스는 다시 돌아가서 뽕나무나 키우면서 살면 되기때문입니다.


●시기?

암7:10 때에 벧엘의 제사장 아마샤가 이스라엘의 왕 여로보암에게 보내어 이르되 이스라엘 족속 중에 아모스가 왕을 모반하나니 그 모든 말을 이 땅이 견딜 수 없나이다. 아멘.

- 여로보암2세 왕 때였습니다. 이 왕은 40년이나 통치를 했습니다. 안정된정치를 했고, 이스라엘이라는 나라가 가장 번성했던 때였습니다.


●나라는 안정 그러나, 영적으로는 침체

북이스라엘이 잘먹고 잘 살 때, 그들은 자기만족, 부도덕, 우상숭배등으로 타락의 길을 걷고 있었습니다.


●가장 중요한 메시지: 정의의 사자

암5:24 오직 정의를 물 같이, 공의를 마르지 않는 강 같이 흐르게 할지어다. 아멘.

- 예배에 대한 이야기들이 나옵니다. 너희들이 제사를 내가 받지 않겠다. 그 이유는 너희에게 제사와 예배는 있지만 정의가 없기 때문이다.

- 교회가 불의에 대항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베드로전서●●●


●저자 베드로

예수님의 수제자인 베드로의 글입니다.


●목적

극심한 박해 속에서 믿음을 지키기 위해 각지로 흩어진 유대 그리스도인들에게 편지를 씁니다. 박해를 이기고 꼭 승리하라는 가르침입니다.


●소망의 서신

벧전1:3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 하나님을 찬송하리로다 그의 많으신 긍휼대로 예수 그리스도를 죽은 자 가운데서 부활하게 하심으로 말미암아 우리를 거듭나게 하사 산 소망이 있게 하시며. 아멘.

- 예수 그리스도께서 우리의 소망이 되셨다. 특히 그분이 부활하신 것이 큰 소망이라고 말합니다.


●순교의 상황 속에서 가장 큰 힘은 부활

죽음 앞에서 무엇이 위로가 될 수 있습니까? 오직 부활밖에 없습니다. 여러분에게도 최후의 승리, 죽음으로부터 승리를 예수그리스도께서 먼저 시범보임으로 이뤄주셨습니다.


●베드로는 유대인들을 대상

베 드로는 항상 유대인들을 대상으로 전도를 했습니다. 그의 중심지는 예루살렘이었습니다. 그 예루살렘이 로마사람들에 의해서 많은 박해가 주어졌습니다. 지난 주에 보신 영상은 주후 70년경입니다. 이 글은 주후 63~64년 정도에 씌여진 글입니다.


●사도바울은 이방인의 사도입니다.

그는 이방인에게 복음을 전하기에 최선을 다했습니다. 베드로는 유대인 토박이였지만, 바울은 다소에서 태어난 2세였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그는 문화적으로나, 언어적으로나 이방인들을 전도하기에 최고의 조건을 가진 사람이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그 사람의 은사를 사용하십니다.

지나고 보면, 그 사람에게 주신 은사가 헛된 것이 아님을 알 수가 있습니다. 나보다 은사를 잘 아시고 그 은사를 활용하게 하십니다.


●아이들이 은사를 찾도록 기도해주십시오.

바른 은사를 찾도록 기도해주세요. 하나님께서 주신 은사가 아니면, 그게 진짜 은사가 아닙니다. 저도 이 은사를 찾는데 참 많은 시간이 걸렸습니다. 하나님. 이게 내가 하기를 원하는 일입니까? 기도하시고 답을 찾으시기를 바랍니다.


● 돌의 비유 - 베드로가 썼다는 증거가 됨

벧전2:4    사람에게는 버린 바가 되었으나 하나님께는 택하심을 입은 보배로운 산 돌이신 예수께 나아가. 아멘.

벧전2:7    그러므로 믿는 너희에게는 보배이나 믿지 아니하는 자에게는 건축자들이 버린 그 돌이 모퉁이의 머릿돌이 되고시 118:22

- 건축자는 유대인들, 그들이 버린 모퉁이돌 되신 예수님

벧전2:8    또한 부딪치는 돌과 걸려 넘어지게 하는 바위가 되었다 하였느니라 그들이 말씀을 순종하지 아니하므로 넘어지나니 이는 그들을 이렇게 정하신 것이라

- 예수그리스도에게 대항하는 돌



●●●베드로후서●●●


●성도가 쌓아야 할 참된 지식(1장)

믿음, 덕, 지식, 절제, 인내, 경건, 형제우애, 사랑


●거짓선생들에 대한 정죄(2장)


●주님의 날에 대한 확신(3장)

재림의 약속이 반드시 이뤄진다고 말합니다. 그 재림이 늦어지는 것은 하나님의 오래참으심때문이라고 합니다. 당장 세상을 끝내실 수 있지만, 한명이라도 더 구원하기 위해서 참으시는 그 참으심 덕분에 우리가 살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전체 2,580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2580
New [산상수훈17]사람보다 하나님을 의식하라-은혜금요-마6:1~4-240531
김동원목사 | 2024.05.31 | 추천 0 | 조회 13
김동원목사 2024.05.31 0 13
2579
요시야의 함께하는 종교개혁-은혜수요묵상-왕하23:1~11-240529
김동원목사 | 2024.05.30 | 추천 0 | 조회 13
김동원목사 2024.05.30 0 13
2578
바쁨에 중독되지 말라-은혜주일-마22:2-240526
김동원목사 | 2024.05.28 | 추천 0 | 조회 38
김동원목사 2024.05.28 0 38
2577
[산상수훈16]기도의 영역을 넓히라-은혜금요-마5:48-240524
김동원목사 | 2024.05.28 | 추천 0 | 조회 33
김동원목사 2024.05.28 0 33
2576
요시야의 종교개혁-은혜수요묵상-왕하22:1~11-240522
김동원목사 | 2024.05.28 | 추천 0 | 조회 34
김동원목사 2024.05.28 0 34
2575
아버지께로 돌아가자-은혜주일-눅15:11-240519
김동원목사 | 2024.05.20 | 추천 0 | 조회 170
김동원목사 2024.05.20 0 170
2574
[산상수훈15]왜 용서해야 하나요?-은혜금요-마5:44-240517
김동원목사 | 2024.05.17 | 추천 0 | 조회 91
김동원목사 2024.05.17 0 91
2573
우리 삶의 기준-은혜수요묵상-왕하21:1~12-240515
김동원목사 | 2024.05.15 | 추천 0 | 조회 95
김동원목사 2024.05.15 0 95
2572
잔소리를 기도로 바꾸라-은혜주일-삿17:1-240512
김동원목사 | 2024.05.13 | 추천 0 | 조회 103
김동원목사 2024.05.13 0 103
2571
[산상수훈14]맹세해도 되나요?-은혜금요-마5:33~34-240510
김동원목사 | 2024.05.13 | 추천 0 | 조회 105
김동원목사 2024.05.13 0 105
2570
히스기야의 잘못된 자랑-은혜수요묵상-왕하20:12~21-240508
김동원목사 | 2024.05.09 | 추천 0 | 조회 149
김동원목사 2024.05.09 0 149
2569
하나님의 양육-은혜주일-창4:9-240505
김동원목사 | 2024.05.06 | 추천 0 | 조회 339
김동원목사 2024.05.06 0 339
2568
[산상수훈13]이혼증서-은혜금요-마5:31~32-240503
김동원목사 | 2024.05.03 | 추천 0 | 조회 495
김동원목사 2024.05.03 0 495
2567
히스기야의 간절한 기도-은혜수요묵상-왕하20:1~11-240501
김동원목사 | 2024.05.01 | 추천 0 | 조회 1886
김동원목사 2024.05.01 0 1886
2566
용서받은 사람은 용서하며 산다-은혜주일-마18:23-240428
김동원목사 | 2024.04.29 | 추천 0 | 조회 4102
김동원목사 2024.04.29 0 4102
2565
[산상수훈12]달콤한 죄의 유혹-은혜금요-마5:29~30-240426
김동원목사 | 2024.04.26 | 추천 0 | 조회 8078
김동원목사 2024.04.26 0 8078
2564
내 마음속의 랍사게-은혜수요묵상-왕하19:1~10-240424
김동원목사 | 2024.04.24 | 추천 0 | 조회 16269
김동원목사 2024.04.24 0 16269
2563
가만 두라-은혜주일-마13:29-240421
김동원목사 | 2024.04.22 | 추천 0 | 조회 18221
김동원목사 2024.04.22 0 18221
2562
[산상수훈11]은혜와 윤리-은혜금요-마5:21-240419
김동원목사 | 2024.04.22 | 추천 0 | 조회 19375
김동원목사 2024.04.22 0 19375
2561
하나님께 칭찬받는 방법-은혜수요묵상-왕하18:1~10-240417
김동원목사 | 2024.04.17 | 추천 0 | 조회 22865
김동원목사 2024.04.17 0 228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