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신경13]죄를 사하여 주시는 것과-은혜금요-눅5:20-231004

작성자
김동원목사
작성일
2023-10-10 18:04
조회
1115
servoice.jpg

▶ 눅5:20 예수께서 그들의 믿음을 보시고 이르시되 이 사람아 네 죄 사함을 받았느니라 하시니. 아멘.

*오늘은 사도신경 13번째 시간입니다.
“죄를 사하여 주시는 것과”로 하나님의 말씀을 증거하겠습니다.

*이건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인데, 왜 사도신경에 포함이 되었을까요?

▶1/2 모든 인간은 죄인이다.

*이 고백을 반대했던 사람이 있습니다.
▶5세기의 수도사, 신학자였던 펠라기우스였습니다. 그는 지금의 영국인이었습니다. 380년 로마로 들어가서 살게 되었는데, 당시 로마의 상황은 너무나 당황스러웠습니다.

*로마의 교회는 죄가 넘쳐흐르고 있었습니다.
313년 로마의 기독교는 콘스탄틴 황제에 의해서 로마의 국교가 되었습니다. 더이상 박해는 없었습니다. 오히려 출세하려면 기독교인이 되어야 했습니다. 교회에는 돈이 모이기 시작했습니다. 교회의 지도자들은 권력자들과 한편이 되어, 세상을 지배하는 새로운 권력자들이 되어 있었습니다.

*자신들의 죄를 회개하지도 않았습니다.
로마교인들의 입에는 항상 이런 변명이 흘러나왔습니다.
▶“육신이 너무 약해서, 하나님의 법대로 살지 못합니다.”
그리고 교회에는 하나님의 은혜만 넘쳐났습니다. 예수님을 믿기만하면 모든 죄가 용서된다는 용서만 넘쳐났습니다.

▶*펠라기우스는 이렇게 주장했습니다.
"인간은 원하기만 하면 선을 완전하게 행할 수 있는 능력을 지녔고, 육체의 약함은 단지 핑계일 뿐"
그리고 수많은 사람들이 펠라기우스를 추종했습니다. 그들은 거룩한 기독교인들이었습니다.

*여러분들은 펠라기우스의 생각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후에 펠라기우스는 이단으로 낙인이 찍히게 되고, 로마에서 추방되었습니다.
펠라기우스는 인간의 자유의지를 너무나 중요하게 생각했습니다.

▶*고백록을 쓴 어거스틴은 펠라기우스와 반대였습니다.
그는 사람이 죄가운데 태어난다는 원죄론을 믿었습니다. 어거스틴은 인간은 전적으로 타락하여 스스로 선을 행할 능력이 없다고 믿었습니다.
지금 우리가 믿는 믿음은 어거스틴의 전통을 이어가는 것입니다.

*펠라기우스는 인간의 자유의지는 너무나 완전하여, 하나님의 도움없이도 선하게 살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어거스틴은 인간의 자유의지도 타락하여, 하나님의 도움이 없이는 선하게 살 수 없다고 믿었습니다.

*여러분들은 이 둘의 생각 중에 누가 옳다고 생각하십니까?
자유의지도 중요하고, 예수믿는 사람들이 선하게 사는 것도 너무나 중요하지만, 하나님없이 선하게 사는 것은 불가능한 일입니다. 아무리 봐도 인간은 죄인들입니다.

*펠라기우스는 맨날 죄용서함만 가르치는 교회를 비판했습니다. 그건 맞는 이야기입니다. 그러나 주님께서는 죄용서함을 선언하셨습니다.

▶눅5:20 예수께서 그들의 믿음을 보시고 이르시되 이 사람아 네 죄 사함을 받았느니라 하시니. 아멘.

*혼자서는 움직일 수도 없는 중풍병자가 친구들의 도움으로 예수님께 나왔습니다. 그러자 예수님께서는 바로 그 자리에서 그 병자에게 “죄용서함”을 선언하셨습니다. 주변에 있었던 바리새인들은 예수님을 비난했습니다.

*우리는 예수그리스도를 통한 죄용서함을 믿습니다.
예수믿고 제일 먼저 받는 복이 죄용서함의 복입니다. 죄용서함을 덕분에 방탕한 삶을 살면 안 됩니다. 죄용서함을 통해서 우리는 하나님께 더 가까이 나가게 됩니다. 주님 주신 힘으로 우리는 더욱 거룩하게 살아야 합니다.

*펠라기우스같은 사람들이 요즘도 있습니다.
그들은 교회를 죄인들의 집단이라고 비판합니다. 예수믿는 사람들이 왜 저렇게 죄가운데 사냐고 비난합니다. 심지어, 하나님의 은혜가 없이도, 예수님을 믿지 않아도 스스로 거룩하게 살 수 있다고 자만합니다.

*오직 예수그리스도를 통해 죄용서함이 있는 줄을 믿습니다.
주님께서 주시는 죄용서함의 은혜가 우리들에게 있기를 축원합니다.
죄용서함 받아서, 더욱 담대하게 죄짓는 사람이 되지 마십시오. 거룩을 매일 매일 실천하며 살 수 있기를 축원합니다.

▶2/2 예수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죄용서함을 받는다.

▶롬1:17 복음에는 하나님의 의가 나타나서 믿음으로 믿음에 이르게 하나니 기록된 바 오직 의인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 함과 같으니라. 아멘.

*사도바울은 로마서에서 의롭게 사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그가 말하는 의롭게 사는 방법은 예수그리스도를 믿는 것이었습니다.

*사도바울은 비윤리적인 사람이 아니었습니다.
그는 원래 바리새인이었습니다. 성경에 나온 법을 철저하게 지키는 바리새인이었습니다. 그는 율법으로 완벽한 사람이라고 했습니다.
그랬던 그가 예수님을 만났습니다. 그리고 진짜 의롭게 사는 것이 무엇인지를 알게 되었습니다. 바로 예수님을 믿는 것이었습니다.

*죄는 누가 용서할 수 있을까요?
내가 누군가에게 죄를 지었다면, 내가 죄지은 그 사람이 용서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착각하고 있는 것이 있습니다. 모든 죄는 하나님께 지은 것입니다. 내가 피해를 준 그 사람에게도 용서를 받아야 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하나님께 용서를 받아야 합니다. 죄는 하나님과 원수가 되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께서 열어주신 죄용서함의 방법은 오직 하나 예수그리스도 뿐입니다.
우리가 예수님을 믿음으로 우리는 죄용서함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우리의 죄용서함을 위해서, 십자가의 제물이 되어 돌아가셨습니다.
그 죽음은 바로 우리의 죄를 영 단번에 용서하시기 위한 속죄의 죽음이었습니다.

*예수그리스도를 믿는 사람들에게는 주님께서 죄용서함의 은혜를 주십니다.
그뿐 아닙니다. 죄용서함을 받아야, 우리는 천국에 갈 수 있습니다.
예수그리스도를 믿으세요. 죄용서함 받고, 영생에 이르게 합니다.

*주님께서 죄를 사하여 주시는 것을 믿습니다.
그리고 죄용서함의 방법은 오직 예수그리스도를 믿는 것이라는 것을 믿습니다.

*펠라기우스처럼 살지 마세요.
그는 사람의 힘으로 거룩하게 살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그러나 윤리가 없는 사람처럼 살지는 마세요.
죄용서함 받고, 죄를 미워하고, 하루 하루 거룩함을 실천함 살 수 있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합니다.

*기도문
우리를 위하여 사랑하는 아들을 이 땅에 보내주신 고마우신 하나님 아버지.
예수그리스도를 통하여, 구원의 길을 열어주시니 감사드립니다.
죄용서함의 길은 오직 예수님 밖에 없음을 믿습니다. 우리의 속에는 선한 것이 하나도 없습니다. 오직 주님을 의지합니다.
펠라기우스같은 어리석은 사람이 되지 말게 하시고, 주님의 능력을 의지하는 믿음의 사람들이 되게 해 주옵소서.
믿음으로 의롭게 되기를 소망합니다. 우리 인생에서 가장 잘한 일이 예수님을 믿은 것이라고 고백하게 하여 주옵소서.
우리의 연약한 힘을 의지하지 말게 하시고, 오직 주님을 의지하게 해주옵소서.
죄용서함이 주님께 옴을 믿습니다.
우리의 죄를 용서하신 예수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기도합니다. 아멘.

1. 지은 죄를 고백믿음으로 죄용서함의 은혜를 얻게.
2. 거룩을 실천하게. 육신의 약함을 이길 수 있도록
전체 2,580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추천 조회
2580
[산상수훈17]사람보다 하나님을 의식하라-은혜금요-마6:1~4-240531
김동원목사 | 2024.05.31 | 추천 0 | 조회 23
김동원목사 2024.05.31 0 23
2579
요시야의 함께하는 종교개혁-은혜수요묵상-왕하23:1~11-240529
김동원목사 | 2024.05.30 | 추천 0 | 조회 25
김동원목사 2024.05.30 0 25
2578
바쁨에 중독되지 말라-은혜주일-마22:2-240526
김동원목사 | 2024.05.28 | 추천 0 | 조회 63
김동원목사 2024.05.28 0 63
2577
[산상수훈16]기도의 영역을 넓히라-은혜금요-마5:48-240524
김동원목사 | 2024.05.28 | 추천 0 | 조회 41
김동원목사 2024.05.28 0 41
2576
요시야의 종교개혁-은혜수요묵상-왕하22:1~11-240522
김동원목사 | 2024.05.28 | 추천 0 | 조회 42
김동원목사 2024.05.28 0 42
2575
아버지께로 돌아가자-은혜주일-눅15:11-240519
김동원목사 | 2024.05.20 | 추천 0 | 조회 172
김동원목사 2024.05.20 0 172
2574
[산상수훈15]왜 용서해야 하나요?-은혜금요-마5:44-240517
김동원목사 | 2024.05.17 | 추천 0 | 조회 94
김동원목사 2024.05.17 0 94
2573
우리 삶의 기준-은혜수요묵상-왕하21:1~12-240515
김동원목사 | 2024.05.15 | 추천 0 | 조회 99
김동원목사 2024.05.15 0 99
2572
잔소리를 기도로 바꾸라-은혜주일-삿17:1-240512
김동원목사 | 2024.05.13 | 추천 0 | 조회 110
김동원목사 2024.05.13 0 110
2571
[산상수훈14]맹세해도 되나요?-은혜금요-마5:33~34-240510
김동원목사 | 2024.05.13 | 추천 0 | 조회 106
김동원목사 2024.05.13 0 106
2570
히스기야의 잘못된 자랑-은혜수요묵상-왕하20:12~21-240508
김동원목사 | 2024.05.09 | 추천 0 | 조회 172
김동원목사 2024.05.09 0 172
2569
하나님의 양육-은혜주일-창4:9-240505
김동원목사 | 2024.05.06 | 추천 0 | 조회 362
김동원목사 2024.05.06 0 362
2568
[산상수훈13]이혼증서-은혜금요-마5:31~32-240503
김동원목사 | 2024.05.03 | 추천 0 | 조회 517
김동원목사 2024.05.03 0 517
2567
히스기야의 간절한 기도-은혜수요묵상-왕하20:1~11-240501
김동원목사 | 2024.05.01 | 추천 0 | 조회 1906
김동원목사 2024.05.01 0 1906
2566
용서받은 사람은 용서하며 산다-은혜주일-마18:23-240428
김동원목사 | 2024.04.29 | 추천 0 | 조회 4127
김동원목사 2024.04.29 0 4127
2565
[산상수훈12]달콤한 죄의 유혹-은혜금요-마5:29~30-240426
김동원목사 | 2024.04.26 | 추천 0 | 조회 8097
김동원목사 2024.04.26 0 8097
2564
내 마음속의 랍사게-은혜수요묵상-왕하19:1~10-240424
김동원목사 | 2024.04.24 | 추천 0 | 조회 16285
김동원목사 2024.04.24 0 16285
2563
가만 두라-은혜주일-마13:29-240421
김동원목사 | 2024.04.22 | 추천 0 | 조회 18241
김동원목사 2024.04.22 0 18241
2562
[산상수훈11]은혜와 윤리-은혜금요-마5:21-240419
김동원목사 | 2024.04.22 | 추천 0 | 조회 19393
김동원목사 2024.04.22 0 19393
2561
하나님께 칭찬받는 방법-은혜수요묵상-왕하18:1~10-240417
김동원목사 | 2024.04.17 | 추천 0 | 조회 22885
김동원목사 2024.04.17 0 22885